LG유플러스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대한 CJ ENM 송출 중단이 확실시되고 있다. 프로그램 이용료를 둘러싼 CJ ENM과 LG유플러스 협상 시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지만 양측 입장은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자사 OTT인 ‘U+모바일tv’ 이용자들에게 11일을 끝으로 CJ ENM 채널의 실시간 방송이 중단될 수 있다고 예고했다. 12일 0시부터 송출중단이 예정된 채널은 tvN, XtvN, 올리브, 엠넷, 투니버스를 비롯한 10개 채널이다.

LG유플러스는 또한 “방송 제공을 위해 CJ ENM과 지속 협의를 진행하겠다”면서도 “당사의 협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휴사가 실시간 방송 공급을 중단할 수 있어 안내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번 갈등은 CJ ENM이 자사 콘텐츠에 대한 IPTV 채널과 OTT 플랫폼의 이용료를 별도로 계약하자고 요구하면서 시작됐다. LG유플러스는 ‘U+모바일tv’, KT는 ‘시즌’, SK브로드밴드는 ‘웨이브’(SKT·지상파 합작사) 등 OTT를 두고 있다. 3사 가운데 CJ ENM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는 OTT는 ‘웨이브’ 뿐이다.

CJ ENM은 해당 OTT가 IPTV와 별도 서비스이기에 이용료 계약도 분리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IPTV에 가입하지 않아도 OTT 자체로서 가입·이용이 가능하고, OTT 이용자만을 위한 ‘VR콘텐츠’ 등 별도 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이유다. 반면 IPTV사들은 ‘U+모바일tv’ ‘시즌’ 등은 IPTV 부가서비스인 ‘모바일 IPTV’라는 입장이다.

OTT 플랫폼에 대한 프로그램 이용료를 두고도 입장차가 크다. 업계에서는 CJ ENM이 LG유플러스 약 175%, KT 1000%가량 인상폭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IPTV협회는 이를 “과도하고 불합리한 사용료 인상”이라 주장했다. 반면 CJ ENM 측은 구체적 금액에 말을 아끼면서도 “각 사에 OTT 가입자가 얼마나 되는지 요구했으나 알려주지 않았다”고 밝혔다. 프로그램 이용료를 산정할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양측 주장만 부딪히는 양상이다.

▲LG유플러스 'U+모바일tv' 게시글 갈무리
▲LG유플러스 'U+모바일tv' 게시글 갈무리

‘U+모바일tv’ ‘시즌’ 등에서 CJ ENM 실시간 방송이 중단되면, 이를 제공할 수 있는 OTT는CJ ENM의 OTT ‘티빙’이 유일하다. IPTV사들은 이번 요구가 OTT 시장에서의 ‘티빙’ 점유율을 늘리려는 CJ ENM 노림수라는 불만도 전해진다. 반면 CJ ENM은 IPTV사들이 자사 콘텐츠를 헐값에 사들여 제공하는 OTT를, 5G 요금제와 묶은 ‘미끼상품’으로 이용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

일각에선 이번 갈등이 ‘갑 대 갑’ 대결이라는 시각도 있다. IPTV 3사는 그간 프로그램 이용료 계약에 있어 협상우위를 차지해왔다. 시장점유율은 최근까지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3월 방송통신위원회(2020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에 따르면 2019년 유료방송시장에서의 IPTV 점유율은 과반, 통신3사 점유율만 80%를 넘어섰다. CJ ENM은 시청률·광고매출면에서 지상파를 앞서며 독보적인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지위를 얻고 있다. CJ ENM 정도의 영향력이 없는 한 프로그램 이용료와 관련해 강경하게 목소리를 낼 PP가 없다는 반응도 나오는 이유다.

문제는 업계 갈등으로 인한 소비자 불편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당장 송출중단 시한을 앞둔 LG유플러스에 이어 KT와의 협상에도 관심이 모인다. CJ ENM과 KT는 오는 11일을 협상기한으로 둔 상태다. 아직 송출중단 통보가 이뤄지진 않았으나 접점을 찾지 못할 경우 언제든 송출중단으로 이어질 여지는 있다. CJ ENM 측은 “(IPTV사들과의) 기존 계약은 이미 2020년 12월로 만료됐다”며 “(송출중단 여부는) 각 사와의 협의 진행에 따른 것”이라고 했다.

현재로서는 협상에 진척이 없는 분위기다. 몇몇 관계자 발로 ‘협상에 충실히 임하겠다’는 취지의 입장이 전해지고 있지만 실질적인 협상 테이블은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지난해 CJ ENM-딜라이브 갈등 때처럼 정부가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진다. 그러나 OTT 관련 법률이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개입 근거가 없다는 한계도 존재한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부(과기부)는 유료방송업계와 간담회를 이어가며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달 현안 간담회를 가진 과기부는 “홈쇼핑 송출수수료, 방송콘텐츠 사용료 대가기준 등의 개선방안 마련을 위해 적극 협력하고, 이를 위해 ‘유료방송사-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상생협의체’에서 정기적으로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