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대통령 선거와 지방 선거를 앞두고, 코로나19 상황이 선거 양상을 어떻게 변화시켰고, 그 방식이 선거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짚는 세미나가 열렸다. 코로나19 상황이 대면 선거 운동을 대폭 줄이면서 정치 신인이 아닌 현직 정치인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고, 특히 SNS를 잘 활용하는 정치인은 자신의 지지자를 결집하기 쉬워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여수 엑스포 컨벤션센터에서 한국방송학회가 주최한 봄철학술대회를 통해 ‘코로나19 환경에서 미디어 활용 선거와 선거 방송’ 세미나가 열렸다. 발제를 맡은 심영섭 경희사이버대 미디어 영상홍보학과 교수는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현재 집권 정부를 지지하며 ‘합심하자’라는 여론이 증가하지만, 긴급 상황이 지나가면 ‘누구의 잘못인가?’, ‘그래서 지금 더 나아졌는가?’를 물으며 오히려 지지율이 떨어지는 상황도 발생한다”고 전했다. 결국 코로나19 기간 보여준 정치인들의 행태와 위기관리능력에 대한 회고적이고 성과 중심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투표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사진출처=한국방송학회. 

심영섭 교수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벌어진 선거 사례를 짚으며 3가지 특징으로 정리했다. 우선 선거 일정을 연기한 사례다. 이런 사례는 극히 예외적이다. 2020년 5월10일 폴란드 대선이 6월28일(7월12일 결선)로 연기된 사례가 있다. 감염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선거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2020년 4월15일 한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가 대표적이다. 2020년 선거가 있었던 브라질과 프랑스에서는 유권자들이 감염을 우려해 투표장에 나오지 않아 투표율이 하락한 사례가 있다. 세 번째는 부재자 및 우편투표가 전면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2020년 미국선거에서 우편투표가 대폭 확대됐고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이 선거 결과에 불복하고 부정선거를 주장하게 된 단초를 제공했다. 

그렇다면 코로나19 상황에서 선거 운동 방식은 어떻게 변화했고 누구한테 유리하며 불리할까. 

심영섭 교수는 “팬데믹 상황에서 전통적 선거 운동 방식이 위기를 맞았다”며 “2020년 선거를 시행한 51개 국가 가운데 절반이 선거 운동을 부분적으로 제한하거나 전면 비대면으로 제한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 때문에 대중매체와 SNS를 통한 선거운동이 활발해졌다. SNS를 통한 정치 메시지 전달은 메시지가 필터링 되지 않아 정치인들이 선호하고 있다. 심 교수는 “SNS를 잘 이용하는 정치인은 그렇지 못한 정치인보다 스타로 등극한다”라며 “특히 도널드 트럼프의 경우 자신의 선거운동을 주로 트위터를 통해 수행했다. 2020년 8월 한 달간 트럼프가 올린 트위터는 1093건이었다”고 전했다. 

심 교수는 “유튜브와 페이스북, SNS 추천 알고리즘이 취향 소비를 부추기면서 확증편향이 강화돼 지지층 결집 및 우호 층 흡수가 쉬워졌다”며 “다만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과 독일 AfD(독일을 위한 대안)의 경우처럼 가짜뉴스와 혐오전략으로는 극단적 지지자를 결집할 순 있어도, 선거에서 승리할 수는 없음을 보여줬다”고도 했다. 

심 교수는 “팬데믹 상황에서 선거운동은 검증된 후보를 통한 위험요인을 줄이는 결과를 가져온다”며 “가두 캠페인과 대면 접촉 기회 감소로 현직이거나 미디어를 통해 인지도가 높거나 지역 내 유력 인사를 후보로 내세우는 것이 지역 선거에서 승리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정치 신인에게 코로나19 상황이 불리하다는 것이다. 심 교수는 “고정지지층보다 부동층에 더 많이 의존해야 하는 정당일수록 비대면 선거 운동은 치명적 약점이 된다”며 “소규모 정당이나 야당일수록 집권 정당보다 불리하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트럼프 이용 사례(왼쪽)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 이용 사례(오른쪽). 사진출처=한국방송학회.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트럼프 이용 사례(왼쪽)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 이용 사례(오른쪽). 사진출처=한국방송학회.

심 교수는 코로나19 상황이 정치 신인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 TV에서의 선거 광고 방송이나 토론 기회를 넓히는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심 교수는 “공영방송인 KBS에서는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 모두에게 무료로 선거 광고 방송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민영 방송에서는 보도기능을 가진 모든 TV와 라디오 채널에서 선거 방송 광고를 자부담으로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선호 책임연구위원은 “방송의 선거 광고 규제에 대한 부분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정치 광고에 대해서도 전향적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